본문 바로가기

[전공]

(11)
[전기기기공학] 01. 자기 회로(2) 1.2 히스테리시스이전에 자계의 세기(H)와 자속밀도(B)와의 관계에 대해서 일정 이상 증가할 경우 비선형적인 관계를 갖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자계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변동시킨다고 가정하자. 교류 전류가 흐르면 전류에 비례하는 자계의 세기가 주기적으로 변동된다. 본 책에서는 코일이 감긴 철심에서 전류의 크기를 변동시킨다.만약 H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0이 된다면, 막연히 생각했을 때 B도 0이 되어야할 것 같다. 하지만 실제로는 잔류 자속밀도(residual flux density)가 남게된다. 전류의 흐름이 반대가 되면 자속이 계속 감속하게 되며, 특정 H값에서 잔류 자속이 제거되어 B=0 이 된다. 이때 자계의 세기를 보자력(coercive force)이라고 한다. 이제 ..
[전기기기공학] 01.자기 회로 여러 전기기기들을 다루기에 앞서, 자기 회로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한다.자기 회로? 전기 회로랑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 전기 회로가 전압(V), 전류(I), 저항(ohm) 등으로 구성된 회로라면, 자기 회로는 자속(flux), 자기 저항(reluctance), 기자력(Mmf)으로 구성되어있다. '아니 전기기기를 배우는데 전기만 알면 되는 거 아니야? 대체 자기 회로가 왜 필요한거야?' 라고 생각할 수 있다.그 이유는 고등학교 과학 시간에 배웠던 물리 법칙을 상기해봄으로써 어림짐작이 가능하다. 고등학교 물리 시간에 배웠던  로렌츠 힘 법칙, 앙페르 법칙,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패러데이 법칙 등등... 수식들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생각해보자. 로렌츠 힘 법칙 : 전하가 움직일 때(또는 전류가 흐를 때..
[전기기기공학]_0.전기기기란 대체 뭘까 전기기기란 무엇일까? 단순히 '전기를 활용하는 기기'라고 말할 수 있겠으나, 국가공인시험이나 전공 책들을 보다보면 직류기, 동기기, 발전기, 변압기, 유도기 등으로 한정된 범위에서 출제된다.사람에 따라 별 생각없이 전기기기 과목의 구성 내용을 보고 지나칠수도 있겠지만, 곰곰이 생각해본다면, TV, 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가 있을텐데 어째서 전기기기는 모터류와 일부 기타 예시로 구성이 되는걸까?  인터넷을 이리저리 찾아보면, 전자기기와 전기기기는 다르다고 말하면서 '전압이 높고 낮음으로 구분한다'거나, '단순히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는 게 전기기기이고, 전자기기는 그 외 반도체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다.' 등등 여러 이야기들이 돌아다니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전압 범위로 선정하기엔 소형 교육용 DC 모터도 직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