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서양철학사 2 (군나르 시르베크, 닐스 길리에 지음)
[차례]
제 13장 계몽주의-이성과 진보
1. 근대화와 과학
2. 세속적 행복
3. 몽테스키외 - 권력분립과 환경의 영향
4. 엘베시우스 - 개인과 쾌락
5. 경제적 자유주의
6. 루소 - 계몽주의 철학에 대한 비판
7. 에드먼드 버크 - 보수적 반동
제 14장 공리주의와 자유주의
1. 제러미 벤담과 제임스 밀 - 쾌락 계산과 법률 개혁
2. 존 스튜어트 밀 - 사회자유주의 그리고 합리성의 조건으로서의 리버럴리티
3. 토머스 힐 그린
4. 존 메이너드 케인즈
제 15장 칸트-철학에서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1. 선험철학 - 인식론
2. 선험철학 - 도덕 이론
3. 정치 이론
4. 판단력 - 목적론과 미학
제 16장 인문학의 대두
1. 배경
2. 헤르더와 역사주의
3. 슐라이어마허와 해석학
4. 역사학파 - 사비니와 랑케
5. 드로이젠과 딜타이 - 인문학의 고유성
6. 역사주의 패러다임의 해체
제 17장 헤겔-역사와 변증법
1. 성찰, 변증법, 경험
2. 주인과 노예 - 인정 투쟁과 사회적 정체성
3. 이성으로서의 전통 - 보편과 개별 간의 긴장
4. 가족, 시민사회 그리고 국가
5. 헤겔에 대한 반박들
제 18장 맑스-생산력과 계급투쟁
1. 변증법과 소외
2. 역사적 유물론
3. 생산력과 생산관계
4. 잉여가치와 착취
5. 맑스에 대한 반론들
6. 프리드리히 엥겔스 -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본 가족
제 19장 키르케고르-실존과 아이러니
1. 직접적 의사소통과 실존적 의사소통
2. 삶의 방식에서의 세 단계
3. 주관성이 진리다
4. 민주주의와 데마고기
제 20장 다윈-인간 개념을 둘러싼 논쟁
1. 자연선택과 인간의 기원
2. 다윈주의와 사회생물학
제 21장 니체와 실용주의
1. "신은 죽었다" - 유럽 허무주의
2. 형이상학과 기독교 비판
3. 도덕철학
4. 위버멘쉬, 힘에의 의지 그리고 영원회귀
5. 인식론
6. 진리는 효과이다 - 미국의 실용주의
제 22장 사회주의와 파시즘
1. 공산주의 - 레닌 : 당과 국가
2. 아나키즘과 생디칼리즘
3. 사회민주주의 - 사회복지와 의회주의
4. 파시즘 - 민족주의와 질서
제 23장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
1. 정신분석학 : 새로운 인간관
2. 꿈 - 무의식에 이르는 길
3. 억압적 문화와 죄책감
4. 정신분석학과 과학철학
제 24장 사회과학의 대두
1. 배경
2. 오귀스트 콩트 - 사회학의 "대사제"
3. 알렉시 드 토크빌 - 미국의 민주주의
4. 페르디난트 퇴니스 -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5. 게오르크 짐멜 - 피륙과 같은 사회적 조직
6. 에멜 뒤르켐 - 사회와 사회적 연대
7. 막스 베버 - 합리성과 "영웅적 비관주의"
8. 탤컷 파슨즈 - 행위와 기능
제 25장 자연과학에서의 새로운 진전
1. 아인슈타인과 현대물리학
2. 과학적 다양성과 기술 발전 - 과학의 적용과 학제적 접근 방식
제 26장 현대 철학 개관
1. 논리실증주의 - 논리와 경험주의
2. 칼 포퍼와 "비판적 합리주의"
3. 토머스 쿤 - 과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4. 루트비히 비트켄슈타인 - 실천으로서의 분석철학
5. 일상언어철학과 발화행위이론 - 오스틴과 설
6. 현상학과 실존주의 - 후설과 사르트르
7. 정체성과 인정 - 시몬 드 보부아르와 페미니즘 철학
8. 존 롤즈 - "공정"으로서의 정의
제 27장 근대성의 위기
1. 근대성 비판
2. 마르틴 하이데거 - 시적인 것을 통하여
3. 한나 아렌트 - 비타 악티바
4. 가다머 -해석학적 전통
5. 데리다, 푸코 그리고 로티 - 해체와 비판
6. 위르겐 하버마스 - 논변 제시를 통해서